축산물 이력제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축산물 이력제란?

by :00!00: 2023. 6. 14.
728x90

우리가 흔히 먹는 축산물은 이력제라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됩니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대한민국에서 키워지고 유통 판매되는 축산물에 대한 이력을 조회하는 시스템입니다. 소고기, 돼지고기는 각 부위별로 관리가 되며 이러한 관리는 농가에서부터 우리의 밥상까지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축산물이력제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어떤 정보가 도움이 되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축산물이력제란?

 축산물이력제란 축산물이 거래되고, 유통되는 단계별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위생안전 문제가 발생됐을 때 유통과정을 역추적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축산물 이력제는 농가에서 가축을 키우면서 도축되고 육가공처리업을 통해 가공되어 유통판매까지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축산물 이력제는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하며 이력번호 또는 묶음번호를 조회했을 때 사육정보, 도축정보, 식육포장처리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육정보는 돼지농장, 도축정보는 도축장, 식육포장처리 정보는 가공장을 말합니다.

https://mtrace.go.kr/

 

축산물 이력제 - ANIMAL PRODUCTS TRACEABILITY

(이력제 시스템이란) 소, 돼지, 닭/오리/계란 등의 출생 등 사육과 축산물의 생산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위생·안전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그

mtrace.go.kr

 

1. 축산물 이력제 조회 방법

 축산물 이력제 조회를 위해 축산물 이력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축산물이력제 사이트

 

축산물 이력제 사이트의 중앙 검색창에 이력번호 또는 묶음번호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릅니다. 어떠한 번호를 입력하실지 모르실 것 같아서 제가 실제로 존재했던 묶음번호, 이력번호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묶음번호: L12306135128002

이력번호: 149002400400 

 

묶음번호와 이력번호는 실제로 생산 된 내역을 통해 예시로 보여드립니다. 포크빌 이라는 곳에서 생산된 돈정육(모둠육)이라는 부위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라벨을 살펴보면 이력(묶음) 번호라는 칸에 바코드 형태로 L12306135128002라는 문자가 있습니다. 이 번호를 검색창에 입력해 보겠습니다.

 

돼지고기 모듬육 라벨

 

1) 묶음번호 입력

묶음번호를 검색창에 입력을 합니다.

묶음번호 이력조회

묶음번호 이력조회를 하시게 되면 위의 내용처럼 묶음번호에 포함 된 이력번호가 조회가 됩니다.

  • 묶음번호 구성내역서
  • 식육포장처리 정보
  • 이력정보

3가지의 항목으로 조회가 됩니다. 이 내용은 여러 이력정보를 하나의 묶음번호로 구성했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도축이 된 돼지를 고기로 만드는 가공장에서 여러 개의 이력번호를 하나로 묶어서 생산을 했다는 내용입니다. 총 11개의 농가에서 키워진 돼지를 하나의 묶음번호로 구성하여 고기로 만들었고 만들어진 묶음번호로 유통되는 것입니다.

 

 묶음번호의 체계는 L을 포함한 15자리 문자, 숫자로 표시해야 한다고 합니다.

' L1YYMMDDㅁㅁㅁㅁxxx'

 다만, 이력관리시스템에서 부여받은 영업장의 고유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영업자코드를 사업자등록번호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묶음번호의 구성은 1번째 자리가 L로 시작하고 2번째 자리는 쇠고기는 0, 돼지고기는 1, 닭고기는 2, 오리고기는 5입니다. 그래서 L0, L1, L2, L5로 시작하게 됩니다. 다음 3번째 자리부터 8번째 자리 까지 6글자는 숫자로 표기하는데 YYMMDD 처럼 연도, 월, 일자가 됩니다. 그래서 23년 6월 13일에 생산된 경우 (L1230613ㅁㅁㅁㅁxxx) 생성이 됩니다. 다음으로 9번째 자리부터 12번째 자리까지 4자리는 영업자코드 입니다. 영업자코드는 이력관리시스템으로 부여받은 영업장의 고유번호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곳 포크빌에서는 5128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L12306135128 xxx)입니다. 마지막으로 13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는 묶음상품의 날짜별로 중복되지 않도록 영업자가 자체적으로 부여한다고 합니다. 최종적으로 포크빌에서 생산 된 묶음번호는 L12306135128002가 되겠습니다.

 

  • L1 YYMMDD4자리 3자리
  • 1번째 자리: L로 고정
  • 2번째 자리: 쇠고기 0, 돼지고기 1, 닭고기 2, 오리고기 5
  • 3번째 자리 ~ 8번째 자리: 6자리 YYMMDD 년, 월, 일
  • 9번째 자리 ~ 12번째 자리: 4자리 영업자코드
  • 13번째 자리 ~ 15번째 자리: 영업자 자체 부여

 

이력정보 항목의 바로 위에는 (이력번호를 클릭하면 이력정보 확인가능)이라는 글이 있습니다. 이력정보 항목의 1번인 149002400400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2) 이력번호 입력

이력번호 클릭

 

 이력번호를 클릭하거나 이력번호를 검색창에 입력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 사육정보
  • 도축정보
  • 식육포장처리 정보

 이력번호를 통해 조회를 하면 크게 3개의 항목이 나타납니다. 사육정보, 도축정보, 식육포장처리 정보입니다.

 사육정보는 돼지고기가 돼지였을 때, 사육된 농가를 말합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어천길에서 사육이 됐습니다.

 도축정보는 대전충남양돈농협 포크빌축산물공판장에서 23년 6월 12일에 도축됐고, 도축검사결과 합격이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식육포장처리 정보에는 대전충남양돈농협포크빌 제1공장에서 1등급 이상과 2등급 이상을 생산했으며 소재지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있다는 것까지 나옵니다.

 참고로 대전충남양돈농협  포크빌축산물공판장은 소비자가 뽑은 1등 도축장이라고 합니다. 또한 육가공을 하는 대전충남양돈농협포크빌 제1공장은 철저하게 이력(묶음) 번호를 관리한다고 하니 소비자가 믿고 구매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축산물이력제의 필요성

 축산물이력제의 필요성은 위생과 안전 때문입니다. 축산물이력제 사이트에 보면 소, 돼지, 닭/오리/계란 등의 출생 등 사육과 축산물의 생산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위생 및 안전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그 이력을 추적하여 신속 하게 대처하기 위한 제도입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대한민국 축산업이 이렇게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니 안심하고 대한민국 축산물을 적극 이용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축산물이력제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포스팅은 축산물이력제 사이트를 통한 돼지고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소고기, 닭고기, 오리고기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조회가 가능하다고 하니,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회해 보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또한, 모바일로도 가능합니다. 절차는 동일합니다. 드시는 축산물이 왜 이렇게 맛있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어느 농장에서 어느 도축장을 거쳐 어떤 가공장에서 식육처리를 했는지 알아보신다면 더욱 맛있게 축산물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정육점, 마트 등에서 고기를 구입할 때는 구매하시는 고기의 포장 겉면에 다음과 같은 라벨이 붙어 있을 것입니다. 이 라벨 또한 조회가 가능하니 잊지 못할 고기맛을 느끼셨다면, 혹은 최악의 고기맛을 경험하셨다면 축산물이력제 조회를 통해 미리 알아두시고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거나의 탁월한 선택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정육점라벨

 

댓글